플로우 설명
목적과 이점
이 워크플로는 사용자가 어떤 YouTube 동영상의 자막과도 대화하듯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단순히 YouTube URL을 제공하면, 사용자는 동영상 자막을 바탕으로 질문을 할 수 있고 간결한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장문의 동영상 콘텐츠도 대화형 AI를 통해 쉽게 접근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단계별 워크플로 설명
1. 채팅 초기화 및 사용자 안내
- 채팅 오픈 트리거: 사용자가 채팅을 열면 워크플로가 시작됩니다. 이로써 프로세스가 트리거되고, 사용자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준비됩니다.
- 환영 메시지: 메시지 위젯이 친근한 환영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 YouTube 동영상과의 대화 도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긴 YouTube 동영상을 간결한 답변으로 바꿔드릴게요🌐. 동영상의 URL을 입력하고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질문에 답변해드릴 준비가 되면 알려드릴게요. ✨📹" - 메시지 출력: 환영 메시지가 채팅 출력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YouTube 동영상 URL을 입력하도록 안내합니다.
2. 사용자 입력 처리
- 채팅 입력: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을 대기하며, 여기에는 보통 YouTube 동영상 URL과 추가 질문이 포함됩니다.
- 채팅 기록: 이전 모든 채팅 메시지가 기억되어, 맥락을 이해하는 답변 및 연속적인 다중 턴 대화를 지원합니다.
3. 동영상 자막 추출
- URL 리트리버: YouTube URL이 제공되면, 워크플로는 URL 콘텐츠 리트리버 노드를 사용해 동영상에서 자막(또는 이용 가능한 텍스트 콘텐츠)을 추출합니다. 이 노드는 최대 30,000 토큰까지 처리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긴 동영상도 분석할 수 있습니다.
4. 에이전트 기반 Q&A
- 도구 호출 에이전트:
- 에이전트는 전문 YouTube 연구원이자 개인 비서로서 역할을 부여받습니다.
- 사용자 질문을 받으면, 에이전트는 (URL 리트리버가 추출한) 자막을 지식 베이스로 사용합니다.
- 시스템 프롬프트는 자막에 없는 답을 지어내지 않고, 간결하고 정확한 답변만 제공하도록 유도합니다.
- 에이전트는 채팅 기록을 활용하여 여러 질문 간 맥락을 유지합니다.
- 답변 출력: 에이전트의 답변은 채팅 인터페이스에 다시 출력되어, 각 질문에 대한 피드백 루프를 완성합니다.
워크플로 구조
단계 | 컴포넌트 | 목적 |
---|
1. 채팅 시작 | ChatOpenedTrigger, MessageWidget | 사용자 환영 및 안내 |
2. 사용자 입력 | ChatInput, ChatHistory | 사용자 질문 수신 및 대화 이력 기억 |
3. 자막 추출 | URLContent | YouTube 동영상에서 자막 추출 |
4. Q&A 에이전트 | ToolCallingAgent | 자막과 대화 맥락을 활용해 질문에 답변 |
5. 출력 | ChatOutput | 메시지 및 답변을 사용자에게 표시 |
장점 및 활용 사례
- 확장성: 이 워크플로를 통해 누구나 직접 자막을 읽지 않고도 무제한의 YouTube 동영상과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 자동화: 자막 추출 및 질의응답 과정이 완전히 자동화되어 수작업 시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접근성 강화: 긴 교육, 강연, 다큐멘터리 동영상에서도 전체 내용을 시청하지 않고 빠르게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지식 유지: 맥락 인식 다중 턴 채팅이 대화 흐름을 보존해, 더 복잡한 질문과 추가 질의도 지원합니다.
활용 예시
- 긴 인터뷰나 다큐멘터리의 핵심 내용을 빠르게 요약.
- 동영상의 일부에 대해 정의, 설명 또는 추가 설명 요청.
- 동영상에서 목록, 타임라인 등 구조화된 정보 추출.
- 여러 동영상 자료를 빠르게 Q&A하며 연구 지원.
결론
이 워크플로는 YouTube 동영상 콘텐츠에 강력한 자동화와 AI 기반 대화를 접목하여, 교육자, 연구자, 학생, 그리고 동영상에서 가치 있는 정보를 얻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됩니다.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에 쉽게 확장 및 일반화할 수 있어, 생산성과 접근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